고양이 집사 3년차, 냄새 없애는 꿀팁 모음
실제로 써보고 효과 본 방법만 모았습니다!
고양이와 함께한 지 벌써 3년째, 이제는 냄새 관리까지 척척하는 집사입니다.
처음 고양이를 키우기 시작했을 땐, 화장실 냄새, 사료 냄새, 체취 등이 은근히 신경 쓰였는데요,
이제는 고양이와 살아도 '집 냄새' 없는 집이라는 말까지 듣게 됐답니다.
오늘은 그 비결을 아낌없이 공유해볼게요!
1. 고양이 화장실 냄새 → 모래 교체보다 “이것”이 더 중요해요
-
✅ 탈취력 높은 전용 매트 사용
-
모래 밑에 까는 전용 매트(활성탄 매트 or 제올라이트)는 모래가 못 잡는 냄새를 커버해줘요.
-
-
✅ 화장실 위치가 환기되는가?
-
욕실, 다용도실보단 창가 근처에 두는 게 공기 순환에 유리
-
-
✅ 모래는 무향 & 응고력 높은 걸로
-
향이 강한 모래는 일시적으로 가릴 뿐, 시간이 지나면 오히려 역효과
-
🔁 집사 루틴
2. 고양이 몸 냄새 → 샴푸보다 브러싱이 먼저입니다
-
🐱 고양이는 원래 자주 씻기면 안 돼요.
-
자주 목욕하면 오히려 스트레스로 체취가 심해질 수 있어요.
-
-
✅ 대신, 일주일에 2~3회 브러싱
-
털 빠짐 방지 + 침 냄새가 머무르지 않게 도와줘요.
-
-
✅ 무향 고양이용 드라이 샴푸 활용 (1~2주 1회)
3. 고양이 식기 & 사료 냄새 → 식기는 매일 설거지!
-
🍽️ 스테인리스 or 도자기 식기 추천
-
플라스틱은 세균 번식에 약해서 냄새가 쉽게 베어요.
-
-
✅ 사료 보관법이 냄새 관리 핵심
-
소포장 or 밀폐용기에 담아 공기 접촉 최소화
-
습식은 먹고 나면 바로 폐기 (전자레인지에 돌리지 마세요!)
-
4. 집 전체 냄새 → 천연 탈취 루틴 세팅하기
-
🧴 탄산수 + 식초 탈취제 DIY
-
공기 중에 뿌리면 고양이에게 무해하면서도 효과 좋음
-
→ 레시피: 탄산수 200ml + 식초 1스푼 + 물 100ml
-
-
🪴 공기정화식물 or 제올라이트 탈취볼
-
예: 산세베리아, 틸란드시아, 벵갈고무나무 등
-
-
✅ 공기청정기 항상 ‘표준 모드’ 이상
👃추가 꿀팁!
-
커튼, 러그, 고양이 담요는 2주 1회 빨기
-
고양이 장난감도 가끔 세척해줘야 냄새 제거돼요
5. ‘집사 냄새’까지 신경쓰기
-
고양이 키우는 집은 본인 몸에서도 체취가 옮을 수 있어요.
-
외출복에 고양이 털이 묻으면 털+피지가 냄새의 원인
-
-
외출 전에는:
-
🔹 옷에 린넨 스프레이 살짝
-
🔹 머리카락, 소매, 가방 털 점검 필수!
-
✅ 마무리하며:
고양이를 키운다고 해서 집이 냄새나야 하는 건 아니에요.
‘꾸준한 관리’ + ‘잘 맞는 제품’ + ‘고양이의 습관’ 이 3가지만 잡으면
"어? 너네 집은 냄새 안 나네?"라는 말 꼭 듣게 됩니다.
꿀팁정보되세요
G